저는 올해 61 세 이고 전자공학과 석사로 IT SW 개발분야 약 30 년의 경험을 가지고 있읍니다 ... 여러분은 제가 요 최근에 블로그에 몇개의 글을 올려서 한국의 대기업 혹은 국가 차원에서 처리하는 소위 국가간 패권 경쟁 분야가 된 생성형 AI LLM 구현 세부 분석 그리고 그걸로 왜 이렇게 국가 차원의 큰 뜨거운 이슈 분야인 생성형 AI LLM 분야에 1/100 혹은 1/1000 이라도 참여할 기회를 달라고 말씀드린 이유를 지금부터 말씀드려 보겠읍니다 .... 이런 생성형 AI LLM 구현 사업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AI 인프라 구축에 대기업도 감당키 어려운 큰 자금이 필요하다는거와 여기에 최소 10 조개 이상의 학습데이터 토큰을 확보하는것도 이에 못지않게 시간과 돈이 어마어마하게 필요해서 그동안은 마음속으로 끙끙 앓고 고민만 해왔읍니다 ... 저 같이 IT SW 분야 일을 해오신 분이라면 다 잘 아시겠지만 저같이 소기업 이든 중소기업 이든 아니면 한국의 대기업 이든 IT 분야가 1000 개의 핵심 기술로 전 세계가 움직인다고 했을때 거의 강대국이 이 모든 분야의 솔루션 즉 원천기술을 풍부한 자금을 통해 이를 구현 완료해서 전 세계의 나머지 기업들에게 강대국의 큰 기업들이 자기네 원천기술 즉 핵심 정보를 얻기 위해 부담되는 비용 지불 없이 저같은 소기업은 IT 분야에서 밥벌이가 되기는 된다고 해도 이런 큰 비용이 필요한 정보 없이 뭔가 돈 벌이가 그리 만만한 세상이 아니라는거죠 ... 이제 생성형 AI ChatGPT 가 나온지 2 년이 넘어 갑니다 ... 저같은 IT 분야 종사자는 이제 SW 개발시에 이런 생성형 AI 가 제가 닥친 IT 분야 개발 건의 어려운 이슈의 해결책 제시를 꽤나 퀄리티 있는 답변을 해주니 솔찍히 말해 큰 도움이 됩니다 ... 사정이 이러하니 어제인가 기사에 10 명이 구직을 원하는데 뽑겠다는 기업은 3 군데 라고 합니다 ... 저도 생성형 AI 를 최소 1 년 반 이상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점은 이제 AI 가 기업이 하는 모든 분야 일처리가 가능한데 나는 무었을 해서 먹고 사나가 너무 걱정되는 세상 입니다 ... 그렇다 보니 이렇게 세상을 좌지우지하는 미국 중국 이나 하는 생성형 AI 에 대해 그렇다면 나 같은 소시민 소기업도 도전해 봐야 하는것 아닌가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구요 ... 세상을 좌지우지 하는 이런 생성형 AI 원천기술 노하우 확보를 빅테크 정도는 아니어도 내가 감당 가능한 정도까지 파악해서 나 같은 소기업도 생성형 AI 사업화에 적은 부분이라도 참여 기회를 달라고 요청하는게 결국 세상이라는게 결국 생성형 AI 의 원천기술을 가진 사람은 세상을 지배하고 나머지 사람은 세상 사는게 생활비 벌이도 쉽지 않으니 나도 내가 할수 있는한 생성형 AI 의 원천기술 이슈의 노하우를 파악 가능한 범위 까지 파악해서 나도 뭔가 도전하지 않으면 내가 올해 나이가 61 인데 누가 나 같은 늙은이가 앞으로 남은 인생 살수 있게 도움받을수 있는 길은 없기에 이렇게 무모하게 보이는 도전도 해 보겠다고 요근래 블로그에 중국 DeepSeeK LLM 의 세부 구현 원리도 분석을 했다 라든가 이런 중국 DeepSeek 가 나같은 힘 없는 늙은이 한테 뭔가 나도 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줬다는것 말씀드립니다 ... 결국 미국의 힘 있는 기업들이 가진 기술 내가 가능한 범위까지라도 뻑세게 공부하지 않으면 요즘 세상은 아무도 나같은 61 세 개발자에게 아무 관심도 없기에 그냥 맥 놓고 감 떨어어지기를 기다리면서 나머지 인생을 지내야 할까요 ? 뭐라도 해야 앞 길이 열릴것 같아 도전하려는 거구요 ... 이런 제 말씀이 가능한 일정 부분은 생성형 AI 가 MIT 박사 100 명분의 고급 정보를 많은 노력을 하면 얻을수 있는 길이있다는것 이런것이 없으면 저 같은 늙은이가 뭘 할수 있겠으니까 ?
일인 AI 스타트업 딥네트워크 CEO / CTO 장석원 / sayhi7@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