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올해 나이 61 세 이고 그동안 초년기에 대학원 졸업후 대기업 연구소 경력도 있고 이렇게 저렇게 IT 분야 경력 30 년이 넘어 갑니다 ... 저도 나이 이제 61 세 다 보니 세상사가 다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돈 있고 힘있는 사람들의 영역을 저같은 힘없는 소시민은 도저히 그 벽을 넘는게 불가능하구나를 절감합니다 ... 저도 40 대 중후반 근처에 H.264 Vodeo Deocder 개발 사업화를 진행했었으니 단 몇 프로가 부족하니 결국 아파트 한채가 통째로 날라갔읍니다 ... 저도 바보는 아니지 않읍니까 ? 그래서 한 4 년전부터 대형언어모델(LLM) 은 도대체 뭐가 어떻게 동작되는가를 주로 논문분석을 통해 공부를 시작했읍니다 ... 제가 앞서도 말씀드렸듯이 이 인공지능 LLM 분야도 지금에 와서 보면 미국같은 거대자본이 있는 나라나 가능한것 이었고 그러니 저같은 일인 AI 스타트업이 LLM 구현 분석을 한다고 하니 이쪽 분야 먼저 자리잡은 기득권들은 너 혼자 해봤자 뭘 하기나 하겠냐 ? 라는 반응이 주류였읍니다 ... 저도 나이가 61 세이고 하니 결국 미국의 글로벌 빅테크도 핵심 노하우는 기업자산이기에 일체 공개 안하거든요 .. 저도 LLM 을 수년간 공부하다 보니 깨닳은 점은 아무리 거대자본 미국만 할수 있다고 해도 LLM 의 뼈대가 되는 동작 구조 등등은 이미 수년전에 이 정도의 정보는 미국 빅테크도 이 정도 정보는 공개를 하더군요 2 년전 ChatGPT 사 상용화 출시 이후 미국 빅테크도 그동안은 조금씩 공개했던것도 ChatGPT 여파로 그동안은 다 기업비밀에 묶여 공개가 잘 안됬었는데요 저야 일인 AI 스타트업인데 ChatGPT 의 구현 구조를 어떤식으로 어떻게 처리된다는 핵심 튜닝 노하우는 빼고 AI 인프라 구축시 뭘 공부해야 하나 ? / 학습데이터도 아무거나 학습시킨다고 성능이 나오는게 아니데 라든가 ? / 모델 설계는 기본적으로 ChatGPT 같은 LLM 구현시 어떤 부분들을 이해해야 하나 ? 이런것들을 파악하려고 밤 새가며 부단히 공부했읍니다 ... 요근래 중국 DeepSeek LLM 때문에 시끄럽습니다 ... 저도 파악을 해 보니 중국 DeepSeek 도 결국 미국이 했던 노력을 중국 내부에서도 이런 부분들 거의 다 경험하면서 이런 놀라운 결과를 냈다고 저는 분석합니다 ... 요즘 한국 경제 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난리법석 입니다 ... 이럴때 저같은 AI 스타트업이 살아 남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를 고민해 봤구요 ... 다 이런 LLM 으로 뭔가를 하려면 거대 자본이 필요하기에 저같은 소기업은 기회를 얻는게 거의 불가능 합니다 ... 저는 최근 중국의 딥시크를 세부 분석하면서 이 사람들의 세부 설계 아이디어를 확실히 파악해 놓자를 목표로 정해 분석하니 저도 LLM 공부 거의 5 년차라 저도 IT 개발 경력 30 년차인데 그동안 30 년 시행착오를 수천번 겪었는데 아무렴 제가 그렇게 저도 어설픈 분석 능력 이겠읍니까 ? 한국의 AI 기득권들은 제가 중국 딥시크의 세부 구현 아이디어 파악이 불가하다고 보시지만 제가 파악한 내용을 제가 판단해도 대기업 AI 연구소에서도 저보다 더 뛰어난 분석은 어렵지 않나 저는 이렇게 판단합니다 ... 솔찍히 LLM 으로 뭔가 하신다는 대기업도 ChatGPT 의 구현 구조를 어떤식으로 어떻게 처리된다는 핵심 튜닝 노하우는 빼고라도 AI 인프라 구축시 뭘 공부해야 하나 ? / 학습데이터도 아무거나 학습시킨다고 성능이 나오는게 아니데 라든가 ? / 모델 설계는 기본적으로 ChatGPT 같은 LLM 구현시 어떤 부분들을 이해해야 하나 ? 이런것들을의 기술이슈가 수백 가지 인것은 이해 하시죠 ? 저는 이런 LLM 구현관련 기술 이슈를 수백개 모두는 아니어도 이런건 어떤식으로 처리했을까 라는 궁금증이 들때 마다 LLM 구현 관련 세부 기술 이슈를 저도 그동안 4 년간 일주일에 하니씩은 세부 분석을 위해 빡시게 노력했다라는것 말씀드립니다 ... LLM 구현 이라는게 저같은 소기업이 가능하다는것은 아니구요 ... 저도 나름 부분 부분별로 구현에 필요한 기술이슈 수백개 공부를 빡시게 했고 이 글을 읽어 보시고 저같은 AI 소기업한테도 이런 기술 이슈 해결에 참여가 가능하도록 같이 협업 이 아니더라도 소규모 이슈 해결 건에 저같은 소규모 AI 기업한테도 기회의 문을 열어 달라는 일인 AI 스타트업 딥네트워크 의 생존을 위한 몸부림을 이렇게 글 로서 호소드리니 한국의 대기업 혹은 글로벌 빅테크의 AI 소기업에 대한 깊은 배려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
일인 AI 스타트업 딥네트워크 CEO / CTO 장석원 / 010 3350 6509 / sayhi7@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