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네트워크 - 딥러닝 모델 분석/네트웍 통신/카메라 3A 튜닝 분야

기술전문 일인기업 딥네트워크를 운영중인데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 저의 LLM(거대언어모델) 이나 로봇 제어 관련해서 저의 기술력 소개 제안서 넣을때 제일 어려운 점(고민 사항) 말씀드려 봅니다 ... 본문

Kernel Porting/Linux

기술전문 일인기업 딥네트워크를 운영중인데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 저의 LLM(거대언어모델) 이나 로봇 제어 관련해서 저의 기술력 소개 제안서 넣을때 제일 어려운 점(고민 사항) 말씀드려 봅니다 ...

파란새 2024. 6. 20. 04:30

LLM 도 개발하려면 물론 소스코딩도 중요한데요 ...   저는 딥러닝 소스코딩 실력은 약간 모자르는것 인정 하구요 ...  딥러닝 LLM 을 대기업에서 개발시에 물론 소스 코딩 능력도 당연 중요한데 저는 이것보다 더 중요한게  현재 ChatGPT 유사 개발 진행시 가장 큰 이슈로 제가 생각하는것은  ChatGPT 에게 질문을 했을때 도대체 어떻게 ChatGPT 의 학습 알고리즘의 동작원리를 구성(설계/구현)해야 좀 더 정확한 답변이 가능할지 이런것들이 더 중요하다고 저는 판단하거든요 ...   이렇게 원천적인 ChatGPT 의  근본적인 동작 원리의 이슈 한두가지를  대기업에 제안해서 같이 고민해 보자고 제안했더니  핵심 이슈는 자기네 내부적으로 처리한다는 답변을 받았읍니다 ...    혹시 이런 부분의  협력을 조그만 부분부터 단계적으로 저희 딥네트워크와 함께 진행하실 기업이 있으실까요 ?    있으시면 아래의 이메일 주소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

또 한가지 저의 고민 분야는 로봇 설계 분야 입니다 ...   저는 로봇 설계의 핵심은 대략 2 가지로 보는데 그 한가지가 정밀모터제어쪽이고  또 하나는 로봇의 정밀 자세제어 부분 이라 생각 합니다 ...   정밀모터 제어를 PMSM Motor 로 FOC 제어를 처리하는 세부 알고리즘 구현 기법을 이해하고 있고  또  로봇의 정밀 자세제어를 위해 칼만필터를 적용해 로봇의 정밀 자세제어가 가능하게 칼만필터의 세부 구현 알고리즘 또한 깊이있게 이해하고 있읍니다 ...   저는 이 두가지 이슈에 대해 전문 지식이 있다는것 입니다 ...   이것도 대기업에 제안서를 넣어 놓고 결과를 기다리면서 제가 소기업이라 대기업이 이런것을 어떻게 검토해줄지 그런게 약간 아니 많이 걱정됩니다 ...   로봇 제어도 얼마전 중견기업에도 간략히 제안했었는데  자기네 이미 상용 기술 있다고 아예 검토의견도 없더라구요 ...   로봇 설계 기술 전체 다 는 아니어도 몇가지 이슈에 대한 전문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는데  상대방에게 어떤식으로 제안해야 저희 로봇 기술력을 인정 받아 단계적으로 공동 협력이 가능할지 이런거  제안서 넣을때 부터 제안을 뭘 어떻게 해야 할지 이런거 다 고민이 태산 입니다 ...     로봇도 이렇게 핵심 이슈 두가지 확실한 기술력 확보가 되도 큰기업과 협력 방안 마련이 참 쉽지 않은게  상대방도 저를 잘 모르니 제가 상대방에게 어떻게 제안 해야 할지 고민이 너무 많읍니다 ...       

기술전문 일인기업 딥네트워크   장석원   sayhi7@daum.net   010-3350 6509   로 부담없이 문의 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