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bRTC 는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을 위의 세부 블럭도와 같이 여러개의 Protocol 이 구현되 있다 ...
- ICE: 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RFC 5245)
- STUN: 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RFC 5389)
- TURN: 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RFC 5766)
- 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RFC 4566)
- DTLS: 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RFC 6347)
- SCTP: Stream Control Transport Protocol (RFC 4960)
- SRTP: 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FC 3711)
WebRTC Janus Gateway 오픈소스는 위에서 열거된 프로토콜들이 구현되 있다 ...
Janus Gateway 오픈소스는 아래의 WebRTC 1.0 API 의 동작구조와 연동되는 구조로 동작한다 ...
아래의 블럭도를 참고하면서 Janus Gateway 오픈소스 커스토마이징 구현이 필요할것 같읍니다 ...

제 소개를 하겠읍니다 ...
DMBTEC HP : 010-3350-6509 이메일 : sayhi7@daum.net
일인기업 (개인사업자 기업) DMBTEC 기술자문 장석원 입니다 ...
연락주셔도 좋읍니다 ....
HOME : https://dmbtec.blogspot.com/
DMBTEC 기술자문 분야 - 미디어서버 분야 :: 전기차 모터제어 분야 :: 로라통신 - 모드버스통신 분야
메일로 문의사항을 보내 주시면,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 검토해서 연락드리도록 하겠읍니다 ....
dmbtec.blogspot.com
'Kernel Porting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젯슨 나노 보드의 클러스터 구성으로 대용량 미디어서버의 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 구현 ... (0) | 2021.05.15 |
---|---|
WebRTC Janus 미디어 서버 대용량 서비스 구축 관련 저의 노하우 소개 ... (0) | 2021.05.01 |
WebRTC 미디어서버 SFU 기능을 Janus 서버에서 어떻게 구현했을까 ? (0) | 2021.03.08 |
Janus WebRTC 미디어 서버의 오픈소스중 추가적으로 다음 함수들의 파악 필요 (0) | 2021.02.03 |
WebRTC Janus_gateway 서버 소스의 설계 구조 (0) |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