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rnel Porting/Linux

[일인 AI 스타트업 딥네트워크 LLM 학습 및 추론 기술력 소개]["누가 봐도 확실하게 추론 성능이 개선되었다"고 증명하는 논문이나 기업 발표는 몇 가지 이유로 발표되기 어려운 이유 분석]

파란새 2025. 1. 19. 12:52

 

 

"누가 봐도 확실하게 추론 성능이 개선되었다"고 증명하는 논문이나 기업 발표는 몇 가지 이유로 발표되기 어렵습니다. 이는 AI 연구와 개발의 특성, 추론 성능 평가의 복잡성, 기술적·상업적 이슈 등 다양한 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구체적인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가 운영하는 일인 AI 스타트업 딥네트워크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AI 모델의 성능 개선을 명확히 증명하기 어려운 이유를 상세히 설명하려 하며, 성능 기준의 모호성 벤치마크의 한계 부분에서 성능 일반화 문제 및 모델 복잡성과 비용 증가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일인 AI 스타트업 딥네트워크 CEO / CTO 장석원   /   sayhi7@daum.net

저희 딥네트워크도 국내외 AI 전문기업들이 LLM 학습 및 추론 사업화 준비 및 실제 서비스 구현시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저도 똑 같이 겪고 있다는 점 말씀드리면서  저희 같은 일인 AI 스타트업 규모가 작다고 무조건 무시하지 마시고 깊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1. 성능 개선 증명의 복잡성

  • 성능 기준의 모호성:
    • "추론 성능"이라는 개념은 맥락에 따라 매우 다르게 정의됩니다. 언어 모델의 경우, 문장 생성의 유창성, 문맥 적합성, 정확성 등 다양한 기준이 존재하며, 이를 모두 충족한다고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 특정 도메인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성능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벤치마크의 한계:
    • AI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벤치마크(예: SuperGLUE, MMLU 등)는 한정된 데이터를 사용하며, 실제 세계에서의 복잡한 문제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기업들이 발표한 모델이 기존 벤치마크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더라도, 이 점수만으로 "누가 봐도 확실하게 성능이 개선되었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2. 기술적 이슈

  • 일반화 어려움:
    • AI 모델은 특정 데이터나 작업에서 성능이 뛰어나더라도, 새로운 도메인이나 환경에서의 성능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이는 "AI 성능 개선"을 증명하기 어렵게 만드는 핵심적인 이유 중 하나입니다.
  • 추론 속도와 정확도의 트레이드오프:
    • 성능 개선 과정에서 모델이 더 복잡해지거나 크기가 증가하면, 추론 속도가 느려지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트레이드오프는 "성능 개선"을 단순히 정확도뿐 아니라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데이터와 컴퓨팅 리소스 의존성:
    • AI 성능은 대규모 데이터와 강력한 컴퓨팅 리소스에 의존합니다. 모든 환경에서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려면 데이터 품질과 훈련 환경의 일관성이 중요한데, 이를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3. 연구 및 상업적 이슈

  • 상업적 기밀 유지:
    • AI 기업들은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세부적인 기술적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새로운 아키텍처나 최적화 기술은 기업의 핵심 자산이므로 논문이나 발표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검증의 어려움:
    • 한 기업이 발표한 성능 개선이 독립적으로 검증되려면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이 재현되어야 하지만, 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와 모델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검증이 제한됩니다.
  • 연구의 동적 특성:
    • AI 기술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기 때문에,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이는 몇 달 후에 새로운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연구가 발표될 때쯤에는 "누가 봐도 확실한 성능 개선"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AI 모델의 성능 개선을 명확히 증명하기 어려운 이유를 상세히 설명하며, 성능 기준의 모호성벤치마크의 한계 부분에서 성능 일반화 문제 및 모델 복잡성과 비용 증가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성능 기준의 모호성

AI 모델의 성능은 여러 기준에 따라 측정될 수 있지만, 이 기준들이 명확하지 않거나 서로 충돌할 수 있습니다. 성능 개선이 모든 기준에서 일관되게 증명되지 않으면, 개선 여부를 확실히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1) 다양한 성능 기준

  • 정확성 (Accuracy):
    • AI 모델이 특정 작업에서 얼마나 높은 정확도로 정답을 예측하는지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기계 번역에서는 번역의 품질, 자연어 처리에서는 문맥 적합성이 중요한 기준입니다.
    • 특정 도메인에서 성능이 뛰어나더라도, 다른 작업이나 언어, 환경에서 정확도를 유지하지 못하면 성능 개선으로 간주하기 어렵습니다.
  • 추론 속도 (Inference Speed):
    • 모델의 크기가 커지거나 아키텍처가 복잡해질수록 정확도는 향상될 수 있지만, 그 대가로 추론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대규모 언어 모델(GPT-4 등)은 작은 모델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이지만, 동일한 작업에서 추론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실행 비용도 증가합니다.
    • 사용자는 실시간 응답을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느린 속도를 "성능 저하"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 자원 효율성 (Efficiency):
    • AI 모델이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얼마나 적은 연산량으로 결과를 낼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자원 소모가 큰 모델은 운영 비용이 높아져 상용화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이는 특히 클라우드 환경이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때 문제가 되며, 개선된 성능이 실질적인 이점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일반화 문제

  • 도메인 일반화 부족:
    • 모델이 특정 데이터셋(예: 학습 데이터)에서는 뛰어난 성능을 보이더라도, 새로운 환경(도메인)이나 입력 데이터에서 일관된 성능을 보장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는 AI의 "과적합(Overfitting)"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챗봇 모델이 한 언어에서는 탁월한 답변을 생성하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엉뚱한 답변을 생성한다면, 성능 개선이 특정 기준에만 국한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실제 환경에서의 평가 어려움:
    • AI 모델의 성능은 실험실 조건(데이터셋 기반 평가)과 실제 환경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은 예측하지 못한 입력에 대해 예상치 못한 결과를 생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따라서 성능 개선이 "누가 봐도 확실하다"고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제 환경에서의 평가가 필요하지만, 이를 모두 실험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2. 벤치마크의 한계

AI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벤치마크는 특정 작업에서의 성능을 수치화하는 데 유용하지만, 벤치마크만으로는 성능 개선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특히 모델 복잡성과 비용 증가는 벤치마크의 한계를 더욱 부각시킵니다.

(1) 제한된 평가 범위

  • 벤치마크의 정적 특성:
    • 대부분의 벤치마크는 고정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평가되며, 이 데이터셋은 시간이 지나면서 AI 모델에 의해 과도하게 최적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모델이 데이터셋의 특성에 맞게 설계되었을 뿐, 실제 문제를 잘 해결하지 못하는 "벤치마크 게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자연어 처리 모델이 SuperGLUE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더라도, 실제 대화형 AI 응용 프로그램에서 모든 사용자 질문에 올바른 답변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세계 데이터와의 차이:
    • 벤치마크 데이터셋은 실제 세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이는 모델이 벤치마크에서 높은 성능을 기록해도 실제 응용 환경에서는 성능이 떨어지는 원인이 됩니다.
    • 대규모 언어 모델의 경우, 특정 테스트 세트에서는 뛰어난 성능을 보이더라도 실제 사용자가 입력하는 새로운 데이터에는 잘못된 답변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모델 복잡성과 비용 문제

  • 대규모 모델의 벤치마크 최적화 문제:
    • 벤치마크에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 모델 크기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거나, 더 복잡한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단기적으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지만, 추론 속도 저하와 연산 비용 증가라는 부작용이 뒤따릅니다.
    • 예를 들어, GPT-3와 같은 모델은 뛰어난 성능을 보이지만, 추론 비용이 매우 높아져 대규모 실시간 응용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 비용과 에너지 소비의 문제:
    • 성능 개선이 더 많은 계산 자원을 요구할 경우, 이는 에너지 소비 증가로 이어집니다. 환경적인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면, 이러한 모델을 "개선된 성능"으로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 실제로 일부 연구에서는 AI 모델의 탄소 발자국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하며, 이는 경제적 및 환경적 비용을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결론

  • 성능 기준의 모호성은 정확도, 속도, 자원 효율성 등 상충되는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간단히 증명하기 어렵습니다.
  • 벤치마크의 한계는 정적이고 한정된 평가 범위로 인해, 모델의 실질적인 성능 개선을 보증하지 못합니다. 더불어 대규모 모델의 복잡성 및 운영 비용 증가 문제는 이러한 한계를 더욱 부각시킵니다.